거룩한 성을 향해 뜨겁게 돌진하리라
   
터키에서 성경 세미나를 마치고, 에베소교회를 시작으로 7교회를 순례하면서 감동도 있었지만 안타까움도 일어났다. 초기 기독교가 확장되는 데 큰 역할을 했던 고대 찬란한 교회들이 천년이 넘는 세월동안 성벽은 거의 다 무너지고 기둥만 덩그러니 남아 있었다. 남은 기둥들을 붙잡고 기도할 때마다 눈물이 났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왜 이렇게 황량한 땅이 되었을까?’ 오른손에 일곱별을 붙잡고 일곱 금 촛대 사이에 다니시는 주님의 엄중한 말씀이 내 가슴을 찌르는 듯 했다. “회개치 아니하면 내가 네게 임하여 네 촛대를 그 자리에서 옮기리라”(계2:5). 결국 회개치 않아 촛대를 옮기신 듯했다.
사도 바울이 피와 땀과 눈물을 흘리며 선교한 땅인데, 가는 곳마다 모스크(이슬람 사원)로 가득 찼고, 매일 5번 미나레트(탑)의 스피커에서는 예배시간을 알리는 아잔(Azan) 소리가 크게 울려 퍼졌다. 현재 터키는 6500만 명 중 1500명이 복음화 된 나라다. 참으로 통탄할 일이다.
이즈미르 주에서 사역을 하고 계시는 한 선교사님과 가이드의 설명을 들으면서 이런 저런 대화를 나누게 되었다. 터키 땅이 복음의 불모지가 된 이유 중 하나가 세속주의에 빠져 사치와 일락을 추구하고, 직업적이고 형식적인 종교 지도자들로 점점 넘쳐나면서부터 교회가 죽게 되었다는 것이다. 순수한 기독교의 본질을 떠나 영성이 흐려지고 세속화되면, 인간 역시도 짐승처럼 되어 버린다. 육과 영은 서로 대적할 수밖에 없다. 육신의 세력 즉 애정과 욕망이 극성을 부리면 영적으로는 점점 둔해진다. 결국 영혼은 빈사 상태에 빠져 타락한 본성을 억제하지 못하고, 정욕을 추구하며 육신의 본능대로 살아가게 된다.
오늘날 한국교회들도 도덕적 타락과 기복신앙과 믿음만능주의, 물량주의와 교권주의로 점점 세속화되어 끝없이 추락을 하고 있다. 한 때 아시아는 물론 유럽 등지의 기독교인들이 한국교회를 닮자고 외쳤다. 하지만 지금은 도리어 “덩치만 크고 겉만 화려한 한국교회는 풍요와 세속주의에 의해 점점 무너져 가고 있다.”고 지탄을 하고 있다. 머지않아 한국교회도 유럽과 터키의 교회들의 전처를 밟을까 두렵다.
마지막 날 터키 순례 일정을 다 마치고 소감을 나누었다. 어떤 분이 “세계적 명소, 이스탄불의 아야 소피아 성당에 가장 큰 기대를 하고 왔는데, 기독교도 아니고 이슬람도 아닌 정말 흉측스러운 건물로 전락해 버렸네요.”라며 큰 실망을 표했다. 겉모습만 화려하고 웅장할 뿐 성당 안은 극히 일부분만 기독교의 흔적이 남아있고, 벽면에 크고 검은 현판이 사방에 달려 있었다. 초기 칼리프(이슬람 최고 지도자)를 캘리그라피로 적은 것이라고 했다. 하나님을 경배해야 할 장소가 단지 유명 관광지로만 변해 버린 듯 했다. 어떤 분은 갑바도기아의 암석들을 보면서 하나님이 펼쳐놓으신 경이로운 장관에 큰 감동을 받았다고 했다. 또 선교사님들의 사랑과 겸손과 섬김에 큰 도전과 감동이 되었다고 하면서 기회가 되면 다시 오고 싶다고 하였다.
나도 순례를 하면서 하나님의 큰 사랑과 은혜를 만끽하였다. 또한 30년 넘게 한 곳에 머물며 선교사역을 꾸준히 해 오신 선교사님과 함께 했던 여러 선교사님들의 빛 된 삶과 헌신을 보면서 많은 감동이 되었다. 그분들의 모습이 긴 여운으로 남으면서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내내 영성훈련의 필요성을 다시금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철저한 영성생활이 무너지면 저 끝없이 이어지는 터키의 황량한 사막처럼 영혼이 변해버릴 것이다. 진실한 회개생활이 무디어지면 겉만 화려한 아야 소피아 성당처럼 영혼이 세속의 것으로 가득 차게 될 것이다.
여러 곳에서 고대 마차 경기장을 보았는데, 사도바울의 고백이 계속 떠올랐다. “경기에 나서는 사람은 모든 일에 절제를 합니다. 그런데 그들은 썩어 없어질 월계관을 얻으려고 절제를 하는 것이지만, 우리는 썩지 않을 월계관을 얻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나는 목표 없이 달리듯이 달리기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나는 허공을 치듯이 권투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나는 내 몸을 쳐서 굴복시킵니다. 그것은 내가, 남에게 복음을 전하고 나서 도리어 나 스스로는 버림을 받는, 가련한 신세가 되지 않으려는 것입니다”(고전9:25-27). 우리 모두는 저 영원한 나라에 썩지 아니할 면류관을 얻기 위해 달려가는 경주자이다. 오직 우리의 푯대, 경건에 이르기 위해 사도바울처럼 매순간순간 자기 몸을 치면서 끊임없이 영성훈련에 매진해야 한다(딤전4:6).
환난과 핍박과 역경과 숱한 고난들을 통해 연단을 받고, 영적 훈련을 받아야만 우리는 성화될 수 있다. 하나님의 위대한 하나님의 일꾼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연단이 필요하다. 못생긴 돌들도 끊임없는 풍화작용으로 예쁘게 다듬어지듯이, 우리도 광야연단과정을 통해 모나고 단단한 자아들이 깎인다.
미켈란젤로는 보잘 것 없는 돌을 다듬고 다듬어 ‘다비드’(다윗)와 같은 유명한 조각상을 빗어냈다. 욥도 “그가 나를 단련한 하신 후에는 내가 정금같이 나오리라.”고 하였다. 기독교 역사를 빛낸 성화된 성도들도 모두가 단숨에 익은 열매가 된 것이 아니다. 수많은 풍파와 모진 역경을 지나 많은 연단을 받고 거룩한 성도가 되었다. 또한 그분들 모두가 하나 같이 철저한 영성생활을 하였다. 영성생활이 무너지면 살아 있는 듯해도 맹탕이다. 
라오디게아와 ‘거룩한 성’이라는 의미를 지닌 히에라볼리(온천)는 서로 인접해 있다. 그러나 아무리 수려한 장관을 이루는 히에라볼리일지라도, 부요하고 풍족할지라도 차지도 덥지도 않는 미지근한 라오디게아 목회자처럼 주님께 책망을 받는다면 그곳은 더 이상 거룩한 성이 아니다. 연단 받은 믿음이 없다면 눈멀고 가련하고 벌거벗고 불쌍한 존재요, 그곳은 죽은 성 일뿐이다. 터키의 사데 교회 목회자처럼 세상의 부와 일락에 빠져 살았다 하나 죽은 자라고 책망 받을까 두렵다.
큰 기둥만 몇 개 남아있는 빌라델비아 교회를 보면서도 많은 생각이 들었다. 모든 것을 다 잃어버릴지라도 하나님 나라를 위해 기둥과 같은 충성스러운 일꾼으로 살아가야 함을. 더 이상 머뭇거리지 말고 뒤에 것은 잊어버리고 푯대를 향하여 열심히 달려가야 한다. 거룩한 도성과 하늘의 상을 바라보며 비록 험난한 산맥을 넘고, 돌에 맞고 찢어지고, 피 흘리는 십자가의 길을 걷는다 해도, 영성생활에 매진하며 뜨겁게 달려가자. 오늘 죽는다 해도 사도바울처럼 주님의 뒤를 열심히 뒤좇아 가야 한다. 우리의 걸음걸음마다 예수님의 흔적이 깊이 남길 바라면서 달려가자. 
“형제들아 나는 아직 내가 잡은 줄로 여기지 아니하고 오직 한 일 즉 뒤에 있는 것은 잊어버리고 앞에 있는 것을 잡으려고 푯대를 향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이 위에서 부르신 부름의 상을 위하여 좇아가노라”(빌3:13-14). 


박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