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히 사랑할 십자가
툭 하는 소리에 화들짝 놀라 벽면을 바라보았다. 벽면 고리의 접착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해져서 십자가 고상이 바닥으로 떨어지며 나는 소리였다. 할 수 없이 중앙에서 살짝 비켜난 옆의 못에다가 다시 십자가를 거는데, 마치 바닥으로 떨어진 십자가가 주님께 찰싹 달라붙어 있지 않고 세상과 적당히 짝하며 살아가는 나의 모습처럼 비춰졌다.
한 주간 뜻하지 않게 덩그러니 집에 혼자 남게 되었는데, 3층 건물에 온통 침묵이 흐르며 정적마저 감돌았다. 1층 성전에 내려가 조용히 무릎을 꿇고 십자가 묵상을 하는데, 눈물이 계속 볼을 타고 흘러 내렸다. 너무나 오랫동안 잊고 소홀히 했던 십자가 묵상 시간에 대한 회한의 눈물이었다.
십자가에 달리신 주님이 가진 것이라곤 가시면류관과 못과 어머니 마리아가 둘러 주신 머리 수건 뿐이었다. 나의 부요함과 사치스러움에 몸이 떨려 왔다. 언제부터인가 주섬주섬 이것저것 필요하다고 하나씩 취한 것들이 1.5평 방안 가득 넘쳐나고 있다. 이것도 필요하고 저것도 필요하다고, 이것도 불편하고 저것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지난날 투정부렸던 여러 가지 일들도 주마등처럼 지나갔다. 힘없이 고개를 떨어뜨린 예수님을 바라보자 조그마한 칭찬에도 우쭐거리는 내 안의 공작날개가 조용히 접히며, 뻣뻣하고 교만한 나의 목이 너무나 부끄럽게 느껴졌다. 선명하게 드러난 갈비뼈와 움푹 들어간 배를 보니 연하곤란으로 배고픔을 참았던 지난 2개월의 시간이 먼지처럼 다 사그라졌다. 굶주림을 참으며 십자가를 지셨던 주님의 충성과 인내에 엄살 부리는 나의 천박함만이 클로즈업 될 뿐이었다. 손과 발등에 솟아난 세 개의 큰 대 못을 보니 주님의 나라를 위해 희생했다고 한 많은 시간들이 정말로 아무것도 아니었고, 헌신이라는 단어조차도 붙일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무엇보다 내 영혼의 진실한 기쁨의 날개를 달아주는 것은 십자가뿐이었다. 우리가 십자가를 사랑하고 십자가를 가까이 할 때 영혼의 힘이 솟아난다.

 

자신을 사막의 작은 모래알에 불과하다고 여겼던 소화 데레사는 “사랑하며 고통을 겪는 것은 가장 순수한 행복입니다.”라며 십자가의 가치를 바로 알았다. 헌신짝으로 불리기를 좋아했던 이현필 선생님은 “언제나 언짢은 일을 좋아하게 하소서. 대접받는 일을 중심으로 싫어하고 핍박과 수치와 천대를 꿀처럼 달게 여기고 악평과 훼방을 금싸라기같이 여기도록 맘을 주시옵소서.”라며 십자가의 수치를 달게 여겼다. 황금과도 십자가를 바꾸지 않겠다던 썬다 씽은 “하늘에서나 땅에서나 십자가와 같은 것은 없다. 신은 이 십자가로 그 사랑을 인간에게 보였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의 이 사랑에 대하여 모르고 있다. 우리는 땅 위의 짧은 생애 중에서 십자가를 질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막시밀리안 콜베는 “고통은 무슨 일이 있더라도 그것은 우리에게 유익합니다. 왜냐하면 아무 것도 우리를 나쁘게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고통의 십자가는 우리를 성화시킬 것입니다.”라고 했다. 십자가의 사랑을 깊게 맛 본 이들은 칭찬과 환대와 박수갈채가 아닌 모욕과 치욕을 자랑거리로 여기며 십자가를 뜨겁게 사랑했다.
십자가를 사랑함이 큰 복이다. 구레네 시몬은 억지로 십자가를 졌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아들 루포 뿐만 아니라 아내는 사도바울에게 “나의 어머니”라는 명칭을 들을 정도로 영적 축복을 누렸다.
성화된 성도들의 공든 탑은 모두 다 고난 가운데 세워졌다. 세상에 이름을 남길만한 기념비가 아니라 우리는 십자가의 탑을 부지런히 쌓아야 한다. 이 땅의 모든 부귀영화는 사라지지만 십자가만이 영원히 남는다. 이 땅에서는 고난을 한 번 참고 견뎠는데, 그 빛의 열매에 대한 상급은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크게 계산된다.

 

사도바울은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려면 많은 환난을 겪어야 하며, 현재의 고난은 장차 우리에게 나타날 영광과 족히 비교할 수 없다고 하면서 고난의 위대성을 찬양했다. “우리의 잠시 받는 환난의 경한 것이 지극히 크고 영원한 영광의 중한 것을 우리에게 이루게 함이니”(고후4:17). 환난은 가벼운 것이고 하늘의 영광이 중한 것이기에 무거운 십자가를 사랑함이 어쩌면 당연한 이치다. 하늘의 영광을 중히 여기는 사람은 모두다 십자가를 사랑했다. 그들은 호강, 안락, 평안을 주는 환경들이 주어질 때면 버릴 줄 아는 고난을 택하며 십자가를 기꺼이 껴안았다. 
 

33세의 싱그러운 나이에 십자가를 사랑스레 껴안은 이가 우리 곁에 있다. 죽음의 섬으로 불리는 몰로카이 섬에 처음 도착했을 때, 비와 바람과 찬서리를 피할 방 한 칸도 없었다. 처음에는 8주간 동안이나 펜데이너스라는 하는 큰 고목나무의 그늘 밑에서 잤다. 800여 명의 한센 병 환자가 수용된 몰로카이의 칼라와오에서 유일한 백인이며, 유일한 건강인은 33세의 다미안 사제뿐이었다. 그래서 그가 해야 할 일이 너무 많았다. 사제의 직무는 물론이요 건축가, 목수, 의사, 약사, 간호사, 농부, 변호사, 경찰, 은행가, 부동산 중개인, 무덤 파는 인부, 관 제작자 등. 그는 “36가지 직업을 가진 사람”이 되었다.
그는 성전을 짓고, 선교를 하고, 집을 짓고, 학교를 짓고, 치료실을 마련하고, 하수 처리시설을 건설하였다. 또한 날마다 환우들을 찾아다니며 약을 주고 고름을 짜주고 붕대를 감아주면서 세상에서 버림받은 이들에게 하나님의 사랑과 희망을 심어주었다. 이틀 내지 사흘에 한 명씩, 1년에 150-200명씩 죽어갔기 때문에 관을 짜서 장례를 치르고 땅을 파서 시체를 묻는 일도 그의 일상이 되었다. 나환자들의 죄의 고백을 들을 때면 목구멍에서 튀어나오는 기침이나 침 세례를 얼마나 많이 받았는지도 모른다.
그가 누님에게 쓴 편지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번민은 많고 위로는 적은 요즘의 생활이라면서 하나님의 섭리에 따라 인내가 제 사업의 생명이라 생각하며 살아갑니다.” 그에게 고통과 번민이 없었던 게 아니었다. 하지만 그는 십자가를 사랑했기에 그 일을 인내로 감당하였다.
1885년 어느 날 밤, 자신도 나병에 걸렸을 때 드린 기도이다. “주여, 당신 뜻대로 하십시오!” 그는 이제 나병환자들과 함께 같은 못으로 같은 십자가 위에 못 박힌 느낌이었다. 다음날 예배 때 설교에서 그는 이전과 똑같은 말로 신자들에게 인사했다. “우리 나병환자들은….”이라고. 손가락이 뭉그러지고 온 몸에 부스럼이 점점 생겨나는 것을 보며 “좀 쉬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라며 어떤 성도는 그의 옷소매를 잡고 말렸다. “쉰다고요? 쉬고만 있을 때가 아닙니다. 죽기 전에 어서 많은 일을 해야 합니다. 만일 제 병을 치료하기 위해 이 섬을 떠나 제가 하던 일을 그만두어야 한다면 저는 성한 몸이 되고 싶지 않습니다.” 십자가를 사랑했던 그는 자신의 안위를 생각지 않았다. 십자가를 통해 하나님께 더 가까이 나아갔고, 주님을 더 열렬히 사랑하는 법을 배웠다.
그는 자신을 일컬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선교사”라고 했다. 고통이 없어서 행복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 가까이에 십자가가 늘 함께 했기에 그는 행복했다. 주님께 꼭 붙어 있는 사람은 고통의 십자가마저 사랑하게 된다.

우리의 고백이자 나의 고백이길 간절히 소망해 본다.
 
“나는 고통 받고 싶어요, 죽고 싶어요, 당신을 위하여!”

이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