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선교]주님의 긍휼을 바라며

어느 날 교회 집사인 밍혼이 넌지시 물어왔다. “전도할 사람이 있는데, 그 집에 같이 한 번 가주실 수 있나요?” 금요기도회가 끝나고 밍혼과 함께 방문한 집엔 밍힝이라는 50대 여성이 살고 있었다.

캄보디아에서는 여성의 이름 앞에 ’(현지어로 이모를 뜻함)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 씨족사회의 풍습으로 추측된다. 60대 후반인 밍힝의 남편은 가까운 호수에서 민물고기를 잡아 근근이 살아가는 가난한 어부다. 밍힝은 첫 번째 결혼에 실패하고 이혼 후 현 남편과 재혼했다. 그래서 부부간의 나이 차가 상당한 편이다. 이혼과 재혼이 잦은 캄보디아 사회의 현주소를 여기서도 엿볼 수 있다.

밍힝은 유방암 말기 환자다. 3년 전 유방 절제 수술을 받았지만 암이 재발하였다. 그녀의 가슴 정중앙에는 성인 주먹만한 혹이 흉측하게 돋아 있었다. 돈이 없어 병원도 가지 못하고 그저 집에서 죽을 날만 기다리고 있는 형편이었다. 캄보디아의 환자들은 경제적 여유가 없기에 치료는커녕 집에 홀로 누워 있는 경우가 많다. 밍혼 집사는 외국인 선교사인 우리가 도울 능력이 있으리라 믿고 부탁해 온 것이다.

선교사들은 선교지에서 이러한 상황을 자주 맞닥뜨린다. 긍휼히 여기는 마음과 냉철한 이성이 교차하는 순간이다. 이러한 문제는 한 번의 도움으로 간단히 끝날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선교지에서의 매 순간이 동정심을 유발하는 환경이지만, 그럴 때일수록 냉철한 이성을 잃지 말아야 한다. 치료를 돕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거나 결과가 안 좋았을 때에는 선교사가 책임을 지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치료비는 물론 환자를 도시에 있는 병원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의 교통비, 간호를 위해 병원에서 상주하는 가족의 식사비 등 모든 비용을 선교사가 부담해야 한다. 가난한 현지인들은 선교사가 당연히 도와줄 것이라 생각하고 모든 것을 떠맡긴다.

사정이 너무 딱하여 돕기로 결심했다. 병세가 어떤지 확인하는 것이 급선무라 생각해 처음 수술 받은 병원을 찾아갔다. 병원에 도착하니 형편없는 시설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다. 무더위를 식혀줄 에어컨 하나 없는 초라한 단층 건물이었다. 시설보다 더 참담한 것은 의료진의 상태였다. 진료 기록을 모두 폐기했다는 것이다. 치료와 직결되는 중환자 관련 자료를 보관하지 않는다니, 이해하기 어려웠다.

며칠 후 프놈펜 시내에 있는 제법 큰 병원으로 밍힝을 데려가 입원 수속을 밟고 몇 가지 검사를 진행했다. 집으로 돌아와서 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밍혼 집사에게 전화가 왔다. 밍힝을 간호하고 있는 남편이 밥을 먹어야 하는데 우리가 준 돈이 다 떨어졌다는 것이다. 한 끼 식사비도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형편의 사람들이다. 현지인 전도사를 통해 급히 돈을 보내주었다.

다음날 검사 결과가 나왔다. 암이 가슴 전체에 퍼졌고 폐까지 전이된 상태였다. 의사는 수술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시기를 이미 놓친 것이다. 긍휼히 여기는 마음이 들어 항암 치료라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한국에서 설립한 선교병원에 문의해보니 항암 주사약을 직접 구입해온다면 투약은 해줄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았다.

항암 과정의 고통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막대한 치료비에 대한 걱정 때문이었을까. 밍힝은 첫 번째 주사를 맞은 후 항암 치료를 포기했다. 이제는 다른 방법이 없기에 하나님께 기도만 드릴 뿐이다. 심방을 갈 때마다 그녀 가슴의 혹에서 고름이 흘러나오는 모습을 보면 연민에 휩싸인다. 체력을 보강하기 위해 음식이라도 잘 먹길 바라며 약간의 돈을 건네고 기도와 하나님의 말씀으로 위로해주었다.

신기하고 감사한 것은 밍힝의 얼굴이 환자 같지 않고 항상 밝다는 점이다. ‘주님을 믿고 의지하라.’고 권하면 그렇게 하겠다며 입술로 고백한다. 주님의 긍휼과 기적을 간절히 구하게 되는 순간이다. “주님, 이 가련한 여인을 긍휼히 여기시어 치유하시고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이 땅에 나타내소서!”

 

박이삭 목사(캄보디아 프놈펜)